등반지 : 남한산성 내 불당리 범굴암(굴바위)
참가자 : 류재한, 김종길, 주재복, 이남기. 이경희, 배영진, 윤강아, 신철현..
날 씨 : 맑고 후텁지근함.
파이 서비스가 종료되어
더이상 콘텐츠를 노출 할 수 없습니다.
높이 30m, 폭 50m 정도의 비교적 작은 암장으로 페이스와 오버행이 주를 이루고 있다. 바위형태는 각진 홀드와 크랙,
미세한 홀드 등 다양하다.
좌측 벽은 연무관(5.10a), 개척2002(5.8), 현길(5.8), 산사랑(5.9), 성공(5.11a), 반석(5.10b), 자유인(5.10c) 등
비교적 쉬운 루트들이며, 중앙부의 하부님(5.11a), -5.10(5.11d), 산적(5.11c), 침괘청(5.11a), 북장대지(5.10d) 등
중급자 루트들이다.
우측 벽의 7545(5.12b), 수어장대(5.11d), 석우1997, 짬뽕(5.11d), 범굴(5.13c), 석우4.27, 볼더 등은 비교적 고난도로
우측으로 가면서 오르기 어렵다. 비교적 작은 암장이나 전체적으로 어려운 루트보다는 초중급자들이 오를 수 있는
루트들이 많다. 대중적인 암장으로 발전 가능성이 많으나 루트 수가 적은 것이 흠이지만, 서울 경기 지역에서 볼 수
없는 암질로 다양한 홀드가 많은 것은 장점이다.
경사가 가파르고 작으면서도 당찬 이 암장은 주변 숲이 울창하여 하루 종일 그늘이 지고 바닥에는 부분적으로 테라스를
닦아 놓았다. 로프 1동과 퀵드로 9개만 있으면 모든 루트를 등반할 수 있으며, 마지막 확보지점은 와이어를 이용하여
쌍볼트를 설치했다. 취사가 가능한데, 식수는 마을에서 준비해야 한다.
* 찾아가는 길
서울에서 하남시를 거쳐 광주 방향으로 43번 국도를 타고 가다가 광주 못미처 우측(308번 지방도로) 남한산성 방향으로
우회전한다. 동문매표소(사람 1인당, 자동차 1대당 1,000원씩)를 지나 동문 방향으로 약 3Km 가다가 좌측 불당리 마을로
들어가 도로변 적당한 곳에 주차를 한다.
성남시를 거쳐 갈 때에는 남한산성 남문을 통과하여 동문을 지나 동문매표소 방향으로 가다가 우측 불당리 마을로 간다.
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는 지하철 8호선 산성역 2번출구 에서 내려 남한산성행 일반버스 9번을 타고 남한산성 로타리에서
내려 15-1번으로 갈아타고 불당리 마을 입구에서 내린다.
도로변에서도 숲속에 자리한 범굴암이 보인다. 마을로 진입해 마을 입구에 걸린 작은 다리를 건너자마자 사슴 농장을
끼고 오른쪽 길로 올라간다. 경운기가 다닐 수 있는 길을 따라 10분쯤 올라가면 양쪽으로 묘지가 나온다.
마지막 묘지를 좌측에 두고 우측으로 100여m 가면 범굴암이다.
[출처] 09. 08/16(일) 남한산성 검단산 범굴암 등반 (바위와 사람) |작성자 강호천사
'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<산행후기> 090906 인수봉 궁형길 (0) | 2009.09.08 |
---|---|
<산행기록> 090829 문학경기장 인공암벽장 (0) | 2009.09.02 |
<산행기록> 090807 설악산(유선대릿지/소토왕골암장) (0) | 2009.08.19 |
<산행기록> 090802 인수봉 산천지길 (0) | 2009.08.04 |
<산행기록> 090726 인수봉 여정길 (0) | 2009.07.30 |